본문 바로가기
□ 돼지저금통 밥 먹이기

'25.03월 소비 결산 (feat. 2030 직장인 가계부)

by 서리히리 2025. 4. 10.
728x90

 

3월 소비부터는 조금 다른 양식을 추가해서 가져와 봤습니다. 그동안 저는 '경조사' 비용을 '기타 소비' 항목으로 구분해 왔었는데, 해가 지날수록 나이를 먹어서인지(…) 점점 그 금액의 비중이 커져간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올해 봄을 앞두고 청첩장을 여러 개 받게 되면서, 해당 항목도 변동지출의 한 항목으로 기록해두고자 양식을 변경해 보았습니다. 여러분께 바로 소개해드릴게요! 

 

 

 

1. 3월의 무지출 Day 

 총 14일 정도로, 한달에 절반 이상 하루에 100원도 쓰지 않았습니다. 저의 가계부 관련 블로그 글을 꾸준히 봐 주신 분이라면 아시겠지만, 저는 카페에서 사 먹는 커피나 편의점에서의 소소한 지출을 최소화 하기 위해 무지출 챌린지를 하고 있습니다. 물론 꼭 필요한 소비라면 결제하지만, 사사로운 소비는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부로 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무지출 Day를 노란색 셀 서식 처리하여 눈에 띄게 표기하고 있습니다.

 

 

2. 3월 소비 피드백

주말에 특히 지출 비용이 큰데, 대부분 경조사 관련으로 생각해주시면 됩니다. 저는 이번 달 3회의 결혼식이 있어 축의를 하였고, 그러다보니 주말의 소비 비중이 굉장히 커졌습니다. 사실 결혼식은 이미 예정된 것이었기 때문에, 이 부분을 염두에 두고 평일 소비를 최소화하고자 했습니다. 

항목별로 보면 데이트 비용도 전월 대비 감소하였고, 봄옷 구매 때문에 약 9만원 정도 쇼핑 비용을 지출하긴 했지만 과한 수준은 아니었다고 판단됩니다.  

저는 현재 반전세에 거주중이라 전세 대출비용과 월세가 동시에 나가는데, 최근 기준금리가 인하되면서 전세 대출 이자가 소폭 감소하였습니다. 그에 따른 고정비 감소가 보이지만 사실 그 외의 항목들이 변함없기 때문에 큰 변화는 아닙니다. 

 

 

3. 상세 항목 별 비교 

세세한 항목별 지출 내역은 위와 같습니다. 먼저 크게 고정지출과 변동지출로 나누어 구분하였고, 세부 항목을 구분지었습니다. 고정지출로 보험, 월세, 관리비, TV/인터넷, 통신비, 구독, 대출 등이 있고, 변동지출로는 마트 및 편의점, 생활용품, 의료/미용, 카페, 외식, 병원/약국, 경조사, 교통비, 전기 및 가스비, 데이트 비용 등 다양한 항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변동지출 중 '기타' 항목에는 가족 외식 비용과 지인 생일 선물 등 말 그대로 그 외의 모든 소비를 구분해두었습니다. 

이렇게 정리하고보니, 변동지출의 38% 가량이 경조사 비용임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만약 지인 생일 선물 등도 경조사 비용에 포함한다면 더욱 비중이 커질텐데, 이 부분을 어떻게 할지는 더 생각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지금 기준으로는 5만원 이상의 비용에 대해서만 경조사 비용으로 할당한 상태이구요. 

 

다음 달부터는 상세 항목 별 비교 표에 대해서 전월과 비교하는 방식으로 가계부를 작성하고자 합니다. 제가 의도할 수 있는 것들도 있고(쇼핑이나 외식 등), 의도할 수 없는 항목도 있지만(병원비나 경조사 비용 등) 매월 비교해가며 작성하면 더욱 소비의 흐름을 잘 파악할 수 있을 거라는 기대가 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마침.


'서리히리의 오늘도 충전' 을 검색하여

하루를 채워나가시길 바랍니다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