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재테크 책 리뷰36 [책리뷰] 「연금 스노우볼 ETF 투자 습관」 : 연금 투자 총정리 (feat. TRF, TIF) □ 제목 : 연금 스노우볼 ETF 투자 습관 □ 저자 : 김수한 □ 이런 분께 추천 : -. 연금저축펀드와 퇴직연금의 차이는 무엇인지 명확히 알고 싶으신 분 -. 자신의 투자 성향에 맞춰 연금계좌를 운용하고 싶으신 분 (2030부터 4050까지) 안녕하세요 서리히리입니다 😊 오늘은 연금과 관련된 내용을 진지하게 다룬 책을 가져왔습니다. 복리의 마법에 대해서 많이 들어보셨을텐데, 복리가 가장 크게 적용될 수 있는 게 바로 연금 투자입니다. 저자는 연금 투자에 있어 스노우볼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젊은 시기부터 적극적으로 ETF로 투자를 시작할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은퇴 후 많은 연금을 받을 수 있다면 정말 좋겠죠. 하지만 내가 연금저축보험과 연금저축펀드의 차이도 모른다면? ETF를 연금계좌에서.. 2025. 4. 18. [책리뷰] 「아파트, 이 가격 오면 사라」 : 소름공식을 이용한 아파트 가격 평가 □ 제목 : 아파트, 이 가격 오면 사라 □ 저자 : 채상욱 □ 이런 분께 추천 : -. 아파트 투자에 관심을 두고 계신 분 -. 적절한 부동산 가격에 대해 파악하고 직접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싶으신 분 안녕하세요 서리히리입니다 😊 이번에 소개시켜 드릴 책은 아파트 매매를 고려할 때 단순히 가격만 시세만을 추종해서 판단할 것이 아니라, 가치 추종형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전국의 모든 아파트가 오르는 시기에는 시세 추종형으로 판단하더라도 이익을 얻을 수는 있지만, 가치가 더 큰 물건의 경우 그 상승폭이 더욱 큽니다. 따라서 투자할 대상을 삼기 더 좋다는 것인데요. 그렇다면 가치 있는 매물은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요? 저자는 이 책에서 그 내용에 대해 다루면서, 아파트를.. 2025. 4. 8. [책리뷰] 「마법의 돈 굴리기」 : 자산배분 투자가 낯선 2030 필독서 □ 제목 : 마법의 돈 굴리기 □ 저자 : 김성일 □ 이런 분께 추천 : -. 주식, 부동산 등 여러 자산을 통한 투자에 관심 있으신 분 -. 자산배분 투자 계획을 어떻게 세워야 할지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시는 분 안녕하세요 서리히리입니다 😊 이전에 『마법의 연금 굴리기』 라는 책으로 소개해드린 김성일 작가님의 책을 또 가져왔습니다. 재테크 책을 읽다보면 난이도가 천차만별이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글을 찾는 것이 쉽지 않은데요. 그렇기 때문에 직접 따라하면서 조금이라도 내 것으로 만들 수 있게끔 시도하는 편입니다. 김성일 작가님의 책은 쉽게 풀이되어 있으면서도 굉장히 명확해서 재테크 초보자부터 숙련자까지 모두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주식이나 부동산 한 가지에 집중하지 않고, 주식이더라도.. 2025. 3. 29. [책리뷰] 「인구와 투자의 미래」 : 인구 구조 변화를 읽으면 돈의 흐름이 보인다! □ 제목 : 인구와 투자의 미래 □ 저자 : 홍춘욱 □ 이런 분께 추천 : -. 저출산으로 인해 한국의 모든 자산(주식, 부동산 등)이 하락할까 염려하시는 분 -. 일본의 잃어버린 30년의 불황이 국내에도 닥칠까 우려되시는 분 안녕하세요 서리히리입니다 😊 대한민국이 저출산 고령화 사회로 진입했음을 모르는 분은 안 계실겁니다. 그러다보니 국내에 장기투자를 하는 것이 옳은 것인지에 대한 확신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미국 주식의 연평균 상승률이 높은 것도 맞고, 중국이나 인도와 같이 앞으로의 발전이 우리나라보다 더욱 기대되는 개발도상국도 있습니다. 부정적인 의견을 한번에 깨 버릴 수는 없지만, 우리는 정확한 데이터를 확인하지 못한 채 지레짐작 두려움에 빠져버린 상황일지도 모릅니다. 저는 이 책을.. 2025. 3. 19. [책리뷰] 「파이어족이 온다」 : 나이, 연봉에 무관하게 이룰 수 있는 경제적 자유 조기 은퇴 □ 제목 : 파이어족이 온다 □ 저자 : 스콧 리킨스 저 □ 이런 분께 추천 : -. 나이가 어리거나 연봉이 낮지만 파이어족에 대한 관심이 있으신 분 -. 소비를 즐기던 평범한 직장인이 파이어족이 되기까지의 여정에 대해 알고 싶으신 분 안녕하세요, 서리히리입니다 😊 요즘 젊은 직장인들에게 관심 있는 단어 중 하나가 '파이어(FIRE)'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하루 일과 중 대부분의 시간을 회사에서 보내며 쳇바퀴와 같은 일상을 보내는 직장인이 아니라 자신의 라이프 스타일을 고수해가며 여유를 즐기는 파이어족. 당연히 후자가 되기 위한 욕구가 더 클 수 밖에 없을텐데요. 평생직장이라는 단어와도 멀어지고, 회사는 그저 월급을 받기 위한 수단 중 하나라는 생각이 팽배한 요즘 현실입니다. 저 역시도 돈 .. 2025. 3. 9. [책리뷰] 「상식을 뒤엎는 돈의 심리」 : 부부 돈 관리, 경험 소비 선호 현상 등 돈과 심리학의 관계 □ 제목 : 상식을 뒤엎는 돈의 심리학□ 저자 : 저우신위에 □ 이런 분께 추천 : -. 돈에 관련된 사람들의 심리가 궁금하신 분 -. 소비, 경제적인 측면에서 스스로를 컨트롤 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궁금하신 분 안녕하세요, 서리히리입니다 😊 저는 2~3년 전에는 심리학과 관련된 책을 많이 읽을 정도로 좋아했는데, 재테크나 경제, 금융과 관련된 책을 읽기 시작하고부터는 심리학 분야와 조금 멀어지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경제와 심리를 한꺼번에 다루는 책을 발견하였습니다. 학문에 가까운 책들은 여러 실험을 다루고 있고 실험의 배경이나 결과가 명확하기 때문에 책의 한 챕터나 특정 문단에 푹 빠지게 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저 역시도 사람들이 돈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다룬 이 책에서 의외의 .. 2025. 2. 27. [책리뷰] 「10년 후 100배 오를 암호화폐에 투자하라」 : 코인 시장 잠재력은 무궁무진! □ 제목 : 10년 후 100배 오를 암호화폐에 투자하라□ 저자 : 박종한 □ 이런 분께 추천 : -. 비트코인, 알트코인 등 암호화폐와 관련된 기본 지식에 대해 궁금하신 분 -. 스마트 콘트랙트, 디파이(DeFi), NFT 등 암호화폐 관련 내용을 쉽게 설명한 책을 찾고 계신 분 안녕하세요 서리히리입니다 😊 여러분 모두 코인에 대해 어떤 이미지를 갖고 계신가요? 사실 저는 부정적인 느낌을 많이 갖고 있었습니다. 저에게 암호화폐라는 건 너무 멀게만 느껴져서 투자 종목으로 대했던 적이 한번도 없었습니다. 하지만 그건 제 자신만의 생각이고, 코인의 가치를 확인한 여러 투자자들은 투자처 중 하나로 지속 관심을 두고 있더라고요. 저 또한, '알고 투자하지 않는 것'과, '몰라서 투자하지 않는 것'은.. 2025. 2. 17. [책리뷰] 「주식의 심리」 : 인문학은 투자의 핵심, 돈이 되는 인문학! □ 제목 : 주식의 심리□ 저자 : 전인구 □ 이런 분께 추천 : -. 역사, 예술, 스포츠, 인물 등을 통해 투자에 대한 마인드를 배우고 싶으신 분 -. 인문학과 돈이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긴밀히 알고 싶으신 분 안녕하세요 서리히리입니다😊 제가 지금은 재테크 책들만 소개해드리지만, 원래 저는 인문학 책을 즐겨 읽는 편이었는데요. 인문학을 읽다보면 다큐멘터리를 글로 보는 것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었고, 제가 평상시 모르던 분야에 빠져들 수 있는 게 좋았습니다. 오늘 소개시켜 드릴 책은 주식을 포함한 재테크에 대한 내용과 인문학이 같이 담긴 경제인문학(?) 도서입니다. 삼국지에 나오는 인물이나 역사 속 실존 인물들의 성격과 태도를 통해서, 예술이나 철학의 관점에서 주식투자에 대해 살펴볼 수 있.. 2025. 2. 7. [책리뷰] 「부의 삼각형」 : 부동산+미국주식+국내주식으로 상위 1% 부자 되기 □ 제목 : 부의 삼각형 □ 저자 : 그릿 권은진□ 이런 분께 추천 : -. 한 가지로만 투자하는 것보다 여러 방향으로 접근하고자 하시는 분 -. 단기, 중기,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하고 싶으신 분 안녕하세요 서리히리입니다 😊 1월 연말정산을 다들 마무리 하셨을텐데요. 어떠셨나요? 연금저축에 납입한 덕분에 세제혜택을 본 분들도 계실테고, 올해 사용한 소비금액을 보며 반성을 하신 분들도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또 한편으로 더욱 적극적인 투자를 하고자 다짐하신 분들도 계시겠죠. 그에 적합한 책을 가져왔습니다. 바로 부를 이루기 위한 세 가지 접근법을 다룬, 『부의 삼각형』입니다. 저자는 좋은 대학에 가고 교사가 됨으로써 풍요로운 삶을 살 수 있을 거라 생각했으나 첫 월급을 받고 생각과 다르다는 것.. 2025. 1. 28. 이전 1 2 3 4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