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재테크 책 리뷰

[책리뷰] 「마법의 돈 굴리기」 : 자산배분 투자가 낯선 2030 필독서

by 서리히리 2025. 3. 29.
728x90
□ 제목 : 마법의 돈 굴리기 
□ 저자 : 김성일 
□ 이런 분께 추천 : 
  -. 주식, 부동산 등 여러 자산을 통한 투자에 관심 있으신 분  
  -. 자산배분 투자 계획을 어떻게 세워야 할지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시는 분 

 

안녕하세요 서리히리입니다 😊 

이전에 『마법의 연금 굴리기』 라는 책으로 소개해드린 김성일 작가님의 책을 또 가져왔습니다. 재테크 책을 읽다보면 난이도가 천차만별이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글을 찾는 것이 쉽지 않은데요. 그렇기 때문에 직접 따라하면서 조금이라도 내 것으로 만들 수 있게끔 시도하는 편입니다. 김성일 작가님의 책은 쉽게 풀이되어 있으면서도 굉장히 명확해서 재테크 초보자부터 숙련자까지 모두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주식이나 부동산 한 가지에 집중하지 않고, 주식이더라도 미국 주식에만 투자하지 않는 등 자산 배분에 대한 철학이 담겨져 있는 점이 가장 좋았습니다. 이제 막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신입사원들의 필독서로 추천하고 싶습니다. 

마법의 돈 굴리기

 

연봉 2,500만 원을 은행 이자로 받으려면 얼마의 원금이 있어야 할까? 예금 금리가 1.81%인 경우, 원금은 16억 3천만 원이 있어야 한다. 다른 말로 하면, 은행에 16억 원 이상을 맡겨놓고 받는 돈(이자)과 내 노동력을 회사에 맡겨놓고 받는 돈(연봉)이 같다는 말이다. (p. 66) 

요즘 예금 금리는 2.9% 입니다. 2025년 2월 이후로 기준금리 2.75%가 유지되고 있고, 책이 쓰여진 2017년에는 1.25%였다고 하니 금리가 더 낮게 책정되던 때였습니다. 연봉 증가분도 고려하여 3,000만원으로 가정해보겠습니다. 그러면 약 12억 원을 예금해 두어야 받을 수 있는 이자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만큼 노동 소득의 가치는 굉장하다는 게 확 와 닿는 표현이었습니다.

 

코넬 대학의 크리스토퍼 가다로브스키는 2001년에 주가 수익률과 언론 보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를 발표했다. 그는 언론 보도에 많이 나온 주식의 경우, 뉴스에 보도되고부터 2년 후까지 시장 수익에 비해 낮은 성과를 보인다는 것을 밝혀냈다. 매일 발간되는 뉴스 정보가 항상 유용한 것은 아니다. (p.85)

언론보도는 투자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주식을 매수하거나 매도할지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칩니다. 언론보도와 소셜 미디어는 시장 예측에 있어서 중요한 정보 원천이 될 수 있죠.  

그러나 호재나 악재가 이미 주가에 반영되었다는 말이 있습니다. 언론에 많이 나오는 종목을 구매했을 때 오히려 주가가 인덱스펀드보다 낮게 형성되었다는 연구 결과입니다. 즉 투자를 할 때는 뉴스나 기사에서 자주 나오기 때문에 시작해서는 안 되고, 해당 종목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과 미래의 성장성이 기대될 때 시작해야겠죠.  

 

개인투자자를 위한 자산배분 절차(Asset Allocation Process) 5단계 
1) 목표 수익률 선정 : 투자를 통해 얻고자 하는 목표수익률을 설정 
2) 자산군 및 투자 상품 설정 : 주식, 채권, 대체투자 등 투자 대상 자산군과 자산군 내 투자 상품 설정 
3) 장기 목표 비중 결정 : 자산별로 얼마씩 투자 금액을 배분할지 비중을 결정 
4) 자산 재분배 기준 정의 : 자산별 가격 등락에 따른 비중 변경 시 자산 재분배를 수행하는 기준 설정 
5) 자산배분 투자 실행 : 설정된 기준에 맞게 자산을 매입하고 지속적으로 관리 (p. 333) 

큰 액수로 투자하고 있는 국민연금 같은 공단이나 기관 뿐만이 아니라 개인 역시 자산배분 투자가 필요합니다. 그 과정에서는 어떤 종목에 어떤 비율로 투자할 것인가도 중요하지만, 사실 내가 가지고 있는 자산들을 명확히 파악하고 목표 수익률을 정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합니다. 

이후에 영구 포트폴리오나 올웨더 포트폴리오 등 상황에 맞는 자산배분을 실행하면 됩니다. 

 

제가 생각했을 때 자산배분투자에 있어 가장 중요한 두 가지는 장기적으로 투자할 것, 자산배분을 지속적으로 반복할 것입니다. 단기적인 투자에서는 한 가지만 지속적으로 올라(ex. 주식) 집중투자 할 걸, 싶은 생각이 들 수 있습니다. 또한 리밸런싱을 집중적으로 하지 않으면 자산배분의 효과를 명확히 확인하기 어려울 것이고요.  

 

 

글을 읽으면서 앞으로 불려갈 제 자산이 기대되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검토해봐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자산배분 후 리밸런싱 할 때를 주제로 블로그 포스팅을 하는 것도 재밌을 것 같고요.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마침.


'서리히리의 오늘도 충전' 을 검색하여

하루를 채워나가시길 바랍니다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