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사람이 같은 상황에 처해 있지 않기 때문에 개개인은 각자에 맞는 저축, 지출, 투자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결국 우리 모두의 목표는 '경제적 자유'를 달성하는 것이라고 볼 때, 그에 가까이 가기 위해서 첫 번째로 해야 하는 것은 바로 "계획 세우기"가 아닐까 싶습니다. 마침 제가 이것을 쉽게 계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게 되어 여러분께 소개시켜드리고자 합니다. 바로 "낙원 계산기"입니다. 저축과 투자를 어떻게 이뤄나갈지,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지출은 어느 정도 줄여야할지에 대해 감을 잡을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지금 진행 중인 플랜을 시뮬레이션하여 테스트해봐도 훌륭한 경험이 될 거라 생각합니다.
https://keep-ones.me/#/paradise-calculator
낙원 계산기의 '낙원'은 말 그대로 경제적 자유를 이룬 파라다이스를 의미합니다. 낙원에 도달하기까지 얼마나 남았는지 서로 다른 케이스에 대해 확인해보도록 하죠.
예를 들어, 제가 서른살임을 가정하겠습니다.
보유 자산은 5,000만원이며, 한 해 동안 150만원*12개월로 총 1,800만원 저축이 가능하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은퇴를 63세로 가정하여, 앞으로 33년 간 근무 해야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명목 수익률은 7%이며, 제 연봉이 증가하는만큼 더 저축할 수 있다고 가정하며 저축 증가율은 3%로 정하겠습니다.
그렇게 계산하면 은퇴 후 자산은 34.69억원, 은퇴 후 월 수입은 436만원입니다.
은퇴 후 월 수입이란, 은퇴 후 약 34.69억을 보유하게 될 것이며 이를 통해 매월 436만원 정도를 소비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이만큼을 소비하고도 투자 원금이 줄지 않았다는 것을 뜻합니다. 4% (명목:7%) 라는 것은, 물가 상승률을 3%라고 했을 때 실질 수익률이 4%이기 때문에 위와 같이 표현되었습니다.
저는 아직 결혼을 하지 않은 싱글이지만, 추후 결혼할 것을 예상하고 한 달에 400만원 소비한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이 경우 저의 은퇴 후 자산이 낙원 금액을 초과하긴 하지만, 그 차액이 3억 이하로 굉장히 적습니다. 월 지출액이 4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가 잦거나, 수익률이 7%를 넘지 못한다거나, 저축률이 3% 이상 증가하지 못할 경우 달성하지 못할 리스크가 있다고 보여집니다.
또 다른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저는 고등학생 아이를 1명 둔 50세 가장입니다. 보유 자산은 부동산과 주식 등을 포함해 빚 없이 6억이라 하겠습니다. 마찬가지로 150만원*12개월로 총 1,800만원 저축이 가능합니다. 은퇴는 13년 후입니다. 명목 수익률과 저축 증가율도 동일하다고 보겠습니다.
이렇게 계산하면 은퇴 후 자산은 18.69억원, 은퇴 후 월 수입은 424만원입니다.
아이 한 명 키우며 많은 돈이 들었고, 빚도 다 갚았지만 앞서 설명한 예시보다 은퇴 후 자산이 훨씬 적습니다.
이런 상황에 처했다면, 저축 및 투자 비중을 늘리거나 지출을 줄여야만 은퇴 후에도 넉넉한 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파이어족을 꿈꾸는 분이 계시다면, 지금 자산과 투자 가능한 금액, 은퇴 예상 시점, 투자 수익률 등을 현실적으로 반영하여 계산해보시기 바랍니다. 현실적으로 확 와닿는 깨달음이 있으실 거라 생각합니다. 저 역시도 최근 파이어족과 관련된 글을 읽으면서 젊은 사람들의 사례를 보다보니 잠시 너무 쉽게만 생각했던 것 같습니다ㅎㅎ... 또 한편으로는 '소비'에 대한 개념에 대해 다시 한번 되새겨보게 됩니다. 내가 너무 많은 돈을 필요로 하는 건 아닐까? 그게 정말 나 자신을 위한 소비일까? 남들의 시선은 전혀 고려하지 않은 게 맞을까? 하면서요. 현재의 저는 더 많은 투자와 저축으로 미래를 향해 한발짝 다가가야겠네요!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마침.
'서리히리의 오늘도 충전' 을 검색하여
하루를 채워나가시길 바랍니다 :)
'□ 경제적 자유를 위한 걸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거래소 ETF/ETN monthly 보고서 확인 (feat. 수익률 높은 ETF) (0) | 2025.01.26 |
---|---|
부동산 매매가격지수, 전세가격지수, 최근 아파트 거래량 비교 (feat. 한국부동산원) (1) | 2025.01.24 |
토스 체크카드 발급 방법, 혜택 정리 (feat. 전월 실적 불필요) (6) | 2025.01.22 |
ACE/RISE/TIGER 미국나스닥100 수수료, 배당금 비교 (25년 1월 기준) (1) | 2025.01.16 |
토스(Toss) 신용점수 확인하기 (feat. 신용점수 올리는 방법) (0) | 2025.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