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용어 파헤치기

흥미로운 경제 용어#17 (Feat. 빅맥 지수, 애그플레이션, 엥겔의 법칙)

by 서리히리 2025. 2. 13.
728x90

 

오늘도 재미있는 경제 용어들로 찾아왔습니다. 벌써 열일곱번째 시간인데요. 빅맥 지수, 애그플레이션, 엥겔의 법칙입니다. 요즘과 같은 인플레이션 고물가 시대에 종종 등장하는 용어이니 이번에 확실하게 알아두시고 다음번에는 뉴스나 기사를 확인하실 때 어려움 없이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흥미로운 경제용어 #17

 

 

1. 빅맥 지수(Big Mac Index) 

경제와 관련된 단어들 중에서는 우리와 익숙한 표현이 포함된 경우가 있습니다. 빅맥 지수도 그 중 하나죠. 

영국의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The Economist)는 1986년 이래로 매년 전 세계 맥도날드 매장에서 팔리고 있는 빅맥 햄버거의 가격을 비교하여 빅맥지수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빅맥지수는 각국의 빅맥 햄버거 가격을 미국에서의 가격과 같게 만들어주는 환율을 의미하는데 실제 환율이 이보다 낮으면 해당 국가의 통화는 고평가 되어 있고, 반대로 높으면 저평가 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죠. 

 2024년 1월 기준으로, 빅맥 지수를 이용해 달러 대비 각국의 환율을 추정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한국의 빅맥 가격 : 5,500 원 

 - 미국의 빅맥 가격 : 5.69 달러 

 - 빅맥의 교환비율= 5500/5.69 = 966.61 로 환율 역시 1달러 = 966.61원이어야 하지만 실제 환율은 1,336.7원임 

따라서 원화는 달러에 비해 저평가 되어 있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1달러를 구하는데 있어서 빅맥 지수로는 966.61원이면 가능하지만, 실제로는 1,336.7원이 필요하므로) 

출처 : 연합뉴스

 

그러나 이러한 빅맥 지수도 현실적인 경제 상황을 모두 반영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빅맥의 가격이 결정되는 데 있어서 원재료 가격뿐만 아니라 건물 임대료, 세금 등 많은 부분에서 다르기 때문이죠. 

 

 

2. 애그플레이션(Agflation) 

쌀, 밀, 옥수수, 감자 등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여 소비자물가와 생산자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농업(Agriculture)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이죠. 

지구 온난화 및 이상 기후 현상으로 농작물이 감소하고, 급속한 도시화로 인해 농가가 감소하는 등의 영향으로 곡물값이 급등하면서 이 용어가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 급격한 물가 상승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애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과정

식품의 가격 상승이 인플레이션 체감을 굉장히 높게 시켜주기 때문에 애그플레이션이라는 용어가 경제 전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3. 엥겔의 법칙  

 엥겔의 법칙이란 소득 수준에 따라 가계소비지출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달라지는 경제적 법칙입니다. 

 구체적으로 말씀드리면, 

 - 저소득 가계일수록 가계소비지출 중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음 

 - 고소득 가계일수록 가계소비지출 중 식료품비의 비율이 낮음 

즉, 소득이 높을수록 식료품에 쓰는 금액은 전체 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든다는 것입니다. 이 내용을 그래프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러한 엥겔의 법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도 있습니다. 미식가이거나 대식가이면 소득이 많더라도 식료품비가 높을 수 있고, 자급자족하는 농업에 종사할 경우에는 식료품비가 실제 지출 금액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엥겔지수(Engel's Coefficient)라는 개념도 있는데요, 총가계 지출액 중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엥겔지수 또한 나라마다, 어떤 산업에 종사하느냐(농업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마침.


'서리히리의 오늘도 충전' 을 검색하여

하루를 채워나가시길 바랍니다 :)

728x90